•  
  •  
  •  
  •  
  •  
  •  
  •  
  •  
  •  
  •  
한 일
부수
나머지 획수
一, 0획
총 획수
1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イチ, イツ
일본어 훈독
ひと, ひと-つ, はじ-め, ひ, ひい
-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E4%B8%80-order.gif
一의 필순

1. 개요2. 상세3. 이체자4. 용례
4.1. 단어4.2. 고사성어4.3. 지명4.4. 철도역
4.4.1. 대한민국4.4.2. 일본
4.5. 인명
4.5.1. 한국식 '일'4.5.2. 중국식 '이'4.5.3. 일본식 '하지메'4.5.4. 일본식 '잇'4.5.5. 일본식 '이치'4.5.6. 일본식 '카즈'4.5.7. 일본식 '니노마에'
4.6. 창작물4.7. 기타
5. 부수
5.1. 부수 예시
6. 여담

1. 개요[편집]

1과 그 서수를 나타내는 한자로,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한자들 중 하나이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옛훈
ᄒᆞ낳[1]
옛음
ᅙᅵᇙ
jat1
it6
yit
ieh4
ĭ[文] / cì[白1]
ék[文] / siŏh[白1]
it[文] / chi̍t[白1]
iq (T4)
i6
기타
yāo[8]
イチ, イツ
ひと, ひと-つ, はじ-め, ひ, ひい
nhất

유니코드에는 U+4E00에 배당되어 있고[9], 주음부호로는 ㄧ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M(一)으로 입력한다. 공교롭게도, 모양이 거의 같은 가로선 하나인 한글 모음 ㅡ도 두벌식 자판 기준 M과 같은 키 자리에 배정되어 있다.

가로선을 하나 그어서 만든 지사자이다.

위조 방지를 위해 사용하는 갖은자에서는 이라고 쓴다. 옛날 지폐수표, 어음 같은 증권 문서 등에서 이 한자를 볼 수 있다.

일본의 남성 인명에는 (いち)로 끝나는 것이 많으며, 이럴 때는 보통 첫째 아들임을 의미한다. 인명에서는 いち, いつ, ひと 등뿐만 아니라 かず, はじめ, つい 등으로 읽히기도 한다.

중국에서는 방 번호 혹은 전화번호 등을 부를 때 yāo라고 부른다.

자형이 매우 단순하기 때문에 한자를 공부할 때 가장 먼저 배우는 글자 중 하나이며, 한자를 부수 순으로 배열한 한자사전에서 맨 첫 번째로 나오는 글자이기도 하다. 아무리 한자를 모르는 사람이라도 모두들 알고 있으며, 심지어 한자와는 전혀 상관없는 삶을 사는 서양인들도 상식으로 은근히 알기도 한다. 그냥 글자 자체가 획수 하나로 선 하나를 찍 그은 거니까.

3. 이체자[편집]

  • 壱(유니코드 58F1, 士(사)부 4획, 土月心(토월심)(GBP))
  • (유니코드 58F9, 士(사)부 9획, 土月一廿(토월일입)(GBMT))
  • 弌(유니코드 5F0C, 弋(익)부 1획, 戈心一(과심일)(IPM))
  • 𠤪[10](유니코드 2092A, 匕(비)부 16획)


은 一의 갖은자, 壱은 壹의 신자체, 弌은 고자,  𠤪은 동자이다.

4. 용례[편집]

4.1. 단어[편집]

4.2. 고사성어[편집]

4.3. 지명[편집]

4.4. 철도역[편집]

4.4.1. 대한민국[편집]

4.4.2. 일본[편집]

4.5. 인명[편집]

4.5.1. 한국식 '일'[편집]

4.5.2. 중국식 '이'[편집]

4.5.3. 일본식 '하지메'[편집]

하지메 문서도 참조

4.5.4. 일본식 '잇'[편집]

4.5.5. 일본식 '이치'[편집]

4.5.6. 일본식 '카즈'[편집]

4.5.7. 일본식 '니노마에'[편집]

이쪽은 실존하지 않는 가상의 성씨이다. 니노마에 문서 참조.

4.6. 창작물[편집]

4.7. 기타[편집]

5. 부수[편집]

一은 214 부수 중에서 1번째[17]다. 一을 부수로 삼는 한자들은 27개이다.

一을 부수로 삼는 한자들은 대표적으로 (위 상), (아래 하), (세상 세), (고무래 정)이 있다.

5.1. 부수 예시[편집]

기본자
1획
2획
4획

6. 여담[편집]

2018년 중국공안부가 발표한 신생아 통계에 따르면 一이 신생아 이름에 17번째로 많이 쓰인 한자이다. 2021년에는 6위를 차지했다.

[1] ㅎ 종성체언[文] 2.1 2.2 2.3 문독[白1] 3.1 3.2 3.3 백독, 본자는 蜀[8] 숫자 7(qī)과 운모 부분의 발음이 같아서 헷갈릴 여지가 있기 때문에 일상에서 숫자를 읽을 때에는 야오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 자세한 내용은 참조.[9] 한자 유니코드 영역에서 첫 번째 순서이다.[10] 글자가 잘 보이지 않는다면 아래 사진을 참고하자.
파일:𠤪.png
[11] 그녀가 세피로트의 나무 첫 번째 세피라인 케테르의 천사 메타트론을 지닌 정령이 되는 것을 암시하는 이름이기도 하다.[12] 얘는 이름부터가 숫자와 관련이 있다. 一五, 15라던지...[13] 성 '이치야나기(一柳)'에서 柳(야나기)는 '류(りゅう)'로 읽을 수 있는데, 이러면 「일류(一流, 이치류)」와 발음이 같아진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14] 활동명은 데라시[15] 이름은 한자 로 각각 플러스마이너스를 형상화했다.[16] 번역명 벽력일섬[17] 유니코드에서도 1번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