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
스킨 설정은 새로고침해야 적용됩니다.
읍 | ||||||
면 | ||||||
법정동 | 자산동 | |||||
평화남산동 | ||||||
양금동 | ||||||
대신동 | ||||||
대곡동 | ||||||
지좌동 | ||||||
율곡동 |
▲ 영남 제일문 |
▲ 김천 무흘구곡 |
▲ 김천 야경 |
▲ 경북 드림 밸리 |
김천역 |
김천시 홍보영상 |
슬로건 | |
시 깃발 | |
전체적인 모양은 금릉과 김천이 합쳐진 김천시의 높은 이상과 성장을 나타낸다. 2개의 타원은 시.군 통합의 결합과 결속을 나타내고, 그 집응 된 기상이 비상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가운데 삼각형은 삼산을 뜻하고 흰 타원은 이수와 교통의 원활함을 나타낸다. | |
시 심벌마크 | |
활기차게 떠오르는 태양은 김천의 미래와 김천인의 진취적인 기상을 상징하며, 태양을 배경으로 우뚝 솟아 있는 산의 형상은 '금오산', '대덕산', '황악산'을 나타낸다. 그 밑을 떠받치고 있는 청색의 힘찬 붓놀림은 '감천'과 '직지천'이 합류하여 낙동강의 지류를 이루는 모습을 의미한다. | |
마스코트 | |
마스코트 금동이,금순이. '금동이'와 '금송이'는 토속적이고 친근미가 물씬 풍기는 이름으로 금(金)은 김천의 옛 지명에서 따왔다. 금동이는 금과 같이 귀하게 사랑받으며 21C 김천을 전세계에 널리 알리는 꿈 많은 동자이다. 금송이는 '금동이'와 함께 어울려 미래의 꿈을 펼쳐가는 친근한 여자아이의 이미지를 담고 있다. 또 김천 빛내농악을 상징하기도 한다고. | |
포도 마스코트 새코미,달코미. 귀여운 이미지인 코미 로 정하여 남녀를 각각 새코미, 달코미로 부르기로 하였으며 통칭은 "코미남매"이다. 새코미, 달코미는 포도의 달콤새콤한 맛의 느낌을 현대적으로 귀엽게 의인화시켜 재미있게 표현한 이름이다. | |
랜드마크(?) 하나로마트 주차 타워 | |
레알(?)랜드마크 시민탑 | |
김천시 행정구역 변천사 | |||||||||
김산군 (金山郡, 1895) 지례군 (知禮郡, 1895) 개령군 (開寧郡, 1895) | → | 김천군 (金泉郡, 1914) | → | → | 김천시 (1995) |
19대 대선 김천시 개표 결과 |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자유한국당 | 국민의당 | 바른정당 | 정의당 | 격차 | 투표율 |
후보 | 문재인 | 홍준표 | 안철수 | 유승민 | 심상정 | (1위/2위) | (선거인/표수) |
득표수 (득표율) | 22,255 (24.30%) | 43,998 (48.04%) | 12,803 (13.98%) | 6,336 (6.91%) | 5,458 (5.96%) | - 21,743 (▼23.74) | 76.93% |
구 김천시 | |||||||
자산동[29] | 17.06% | 59.89% | 12.18% | 5.81% | 4.60% | ▼42.83 | 74.08 |
평화·남산동[30] | 18.02% | 59.11% | 11.91% | 5.76% | 4.35% | ▼41.09 | 72.35 |
양천·황금동 | 15.75% | 63.18% | 11.08% | 5.21% | 4.05% | ▼47.43 | 78.42 |
대광·신음동[31] | 26.33% | 41.12% | 15.85% | 8.19% | 7.92% | ▼14.79 | 75.16 |
대곡동 | 21.94% | 49.83% | 14.35% | 7.81% | 5.59% | ▼27.89 | 74.32 |
지좌동 | 22.19% | 50.89% | 13.56% | 6.04% | 6.56% | ▼28.70 | 71.75 |
구 금릉군 | |||||||
율곡동[32] | 50.38% | 17.16% | 14.94% | 8.04% | 9.08% | △33.22 | 83.46 |
아포읍 | 15.00% | 61.46% | 12.63% | 5.73% | 4.22% | ▼46.46 | 70.96 |
농소면[33] | 27.79% | 47.75% | 12.50% | 4.36% | 6.62% | ▼18.62 | 76.53 |
남면[34] | 17.98% | 58.48% | 13.59% | 5.30% | 3.59% | ▼40.50 | 71.35 |
개령면 | 13.63% | 64.51% | 12.98% | 5.05% | 2.88% | ▼50.88 | 75.23 |
감문면 | 9.98% | 73.76% | 8.76% | 3.88% | 2.53% | ▼63.78 | 75.63 |
어모면 | 13.45% | 62.81% | 13.27% | 4.73% | 4.43% | ▼49.36 | 72.20 |
봉산면 | 14.02% | 63.06% | 13.76% | 5.09% | 3.26% | ▼49.04 | 76.66 |
대항면 | 15.51% | 61.68% | 13.62% | 4.64% | 4.04% | ▼46.17 | 73.73 |
감천면 | 12.74% | 64.95% | 13.23% | 4.29% | 3.87% | ▼52.21 | 77.74 |
조마면 | 13.75% | 63.26% | 13.89% | 3.89% | 3.75% | ▼49.51 | 74.28 |
구성면 | 13.85% | 68.68% | 10.52% | 3.39% | 2.47% | ▼54.83 | 69.39 |
지례면 | 16.84% | 62.57% | 11.57% | 5.43% | 2.15% | ▼45.73 | 78.70 |
부항면 | 14.18% | 62.31% | 15.17% | 3.48% | 2.61% | ▼48.13 | 72.83 |
대덕면 | 15.34% | 63.17% | 12.72% | 3.67% | 3.29% | ▼47.83 | 71.20 |
증산면 | 14.53% | 63.94% | 11.76% | 2.77% | 4.23% | ▼49.41 | 76.76 |
후보 | 문재인 | 홍준표 | 안철수 | 유승민 | 심상정 | ||
거소·선상투표 | 21.62% | 43.78% | 23.51% | 3.51% | 2.70% | ▼22.16 | |
관외사전투표 | 35.85% | 25.29% | 16.63% | 12.39% | 9.08% | △10.56 | |
재외투표 | 45.59% | 14.32% | 23.79% | 4.41% | 11.01% | △21.80 | |
후보 | 문재인 | 홍준표 | 안철수 | 유승민 | 심상정 | 격차 | 투표율 |
22.82% | 50.96% | 13.57% | 6.30% | 5.58% | ▼28.14 | 74.95 | |
후보 | 문재인 | 홍준표 | 안철수 | 유승민 | 심상정 | ||
동 지역[37] | 21.78% | 50.64% | 13.91% | 7.03% | 6.02% | ▼28.86 | 74.23 |
읍·면 지역[38] | 15.27% | 62.65% | 12.60% | 4.62% | 3.73% | ▼47.38 | 73.00 |
혁신도시[39] | 50.38% | 17.16% | 14.94% | 8.04% | 9.08% | △33.22 | 83.46 |
2012년 18대 대선/2016년 20대 총선(비례)/2017년 19대 대선 지역별 득표율 비교 | ||||||||||
민주통합당→더불어민주당 | 새누리당→자유한국당 | |||||||||
선거 | 18대 대선 | 20대 총선 | 19대 대선 | 증감율 (대선/대선) | 증감율 (총선/대선) | 18대 대선 | 20대 총선 | 19대 대선 | 증감율 (대선/대선) | 증감율 (총선/대선) |
김천시[40] | 16.05% | 11.72% | 24.30% | △8.25 (+51.4%) | △12.58 (+107.3%) | 83.41% | 57.49% | 48.04% | ▼35.37 (-42.4%) | ▼9.45 (-16.4%) |
김천시-금릉군 | 김천시 | ||||||
13대 | 14대 | 15대 | 16대 | 17대 | 18대 | 19대 | 20대 |
박정수/4선 민주자유당 | 임인배/초선 신한국당 | 임인배/재선 한나라당 | 임인배/3선 한나라당 | 이철우/초선 한나라당 | 이철우/재선 새누리당 | 이철우/3선 새누리당 |
자세한 사항은 김천시/행정 항목 참조.
buma 스킨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