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서울 지하철 5호선의 전철역에 대한 내용은 목동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신목동역
파일:Seoulmetro9_icon.svg
다른 문자 표기
Sinmokdong
新木洞
新木洞(シンモクトン)
주소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중앙로 지하217 (목동 136-2)
운영 기관
개업일
2009년 7월 24일
역사 구조
지하 3층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기타7. 연계 교통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서울 지하철 9호선 911번.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중앙로 지하217(목동 136-2) 소재.

2. 역 정보[편집]

파일:external/www.metro9.co.kr/subway11_con1.gif
역 구조도
파일:attachment/Sinmokdongi.jpg
역 안내도

역명의 유래는 지역 이름인 목동. 5호선목동역과 동명이역이 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좀 더 나중에 지어졌다는 의미로 '신'(新)자가 들어갔다. '신목동'이라는 동명은 없다.[1] 처음 역명을 정할 때는 지명위원회를 통해 역 이름을 '용왕산역'으로 하였으나, 목동아파트 1, 2단지 주민들이 민원을 통해 '신목동'이라는 이름을 제안하여 개통 전에 역명이 변경되었다.[2][3] 사유는 "사회적으로 알려진 목동의 브랜드 가치를 알리기 위해서"라고 하며[4], 좀 더 직설적으로는 목동이란 이름을 넣어야 집값이 올라간다는 것이었다. 행정구역상 목동이기는 하나 목동 중심(목동오거리, 현대백화점 인근 등)과는 거리가 멀다.

원래 3기 지하철 계획에 따르면 11호선과 환승될 예정이었다고 하지만, 계획이 백지화되면서 자연스럽게 무산되었다.

11호선은 목동 중심축을 통과하기로 계획되었다고 알려졌는데, 계획대로 되었다면 신목동역은 9호선 방면으로 나가는 환승 축으로 기능하고, 순수 승하차 수요는 높지 않은 형태가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덕분에 역이 수요에 비해서 은근히 크다. 3기 지하철 계획 백지화 이후에도 신안산선이 예정돼 있던 국회의사당역과 달리 이 역은 건설지에서도 환승을 어떻게 대비했는지 언급이 전혀 없다. 9호선의 건설은 나머지 3기 노선들이 철회되고 난 후에서야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는데다, 건설지에서도 당산역목동선(11호선 강서구간 대체노선) 환승이 반영돼있는 걸 감안하면 굳이 이 역을 환승역으로 고려해서 만들 필요가 없기도 하다. 그러나 9호선은 3기 지하철 계획 폐지 이전에 실시설계가 거의 다 되어 있었던 만큼 환승을 대비해서 설계했다가 시공할 때 설계를 변경했을 가능성 정도는 있다.

이 역과 염창역 사이에는 급곡선 구간으로 인해 60km/h로 서행해야 한다.

3. 역 주변 정보[편집]

목동 아파트 단지에서는 최북단 지역에 있으며 목동아파트 중 가까운 단지는 1단지인데, 그나마 바로 붙어있지도 않다. 역과 가장 가까운 123동에서도 빠른 걸음으로 걸어야 5분 정도 걸리며 보통은 7~8분은 걸린다. 가장 먼 101동 주변이라면 10분은 넘게 걸린다. 그것도 샛길을 아는 동네 사람이나 10분이지 이쪽 지리를 모르는 사람이 지도어플켜놓고 걸으면 20분은 걸린다.

근처에 안양천과 용왕산 공원이 있다. 사실 신목동역에서 제일 가까운 아파트 단지는 목동1단지가 아니라 한신청구아파트단지로, 가장 가까운 한신청구 101동은 보통 걸음으로 5분, 가장 먼 한신청구 109동도 보통 걸음으로 7~8분이면 간다.

목동이라는 이름이 붙은 것과 반대로 주변 사정은 발전되어 있는 곳이 절대 아니다. 정확히 표현하자면 목동아파트 단지의 먼 테두리 길에 위치하는 역이다.

바로 옆에는 안양천 공원이 있고 출구 3개 주변지역은 이렇다 할 역세권이 없어서 5호선 목동역, 오목교 주변과 비교해보면 확실히 여기는 한산한 동네다. 9호선 라인 중에 평균 승차량이 손가락 세 개로 꼽을 정도로 정말 인기가 없는 역이다. 거대 수요처인 목동아파트를 살짝 겉만 핥고 지나가는데다가, 역 자체가 용왕산과 안양천 사이에 끼어 있으며, 안양천의 다리로 보면 양평교와 양화교 사이에 끼어 있기도 하여, 실질적으로 신목동역의 도보역세권이 굉장히 작으며 도로 교통축에서도 비껴나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역 주위를 지나가는 버스 노선도 영끌해서 5개뿐이며, 그나마도 이 중 1개는 공항버스이다.

역사 내에 위치한 GS25 외에 가장 가까운 편의점이 걸어서 5분 걸리는 주유소에 딸린 편의점이다. 가장 가까운 프랜차이즈 카페는 신목동역보다 염창역에 더 가까운 인근 호텔 안에 있다.[5] 그만큼 역 주위에는 공공시설과 주택가를 빼고는 아무것도 없다.

급행 열차가 서지 않는 역이기 때문에 강남 방면으로 가려는 목동 주민들은 마을버스나 일반버스를 타고 당산역으로 바로 가서 더 빠르게 가는 것을 선호한다. 가양역이나 김포공항 방면으로 가려는 주민들도 마찬가지로 마을버스를 타고 염창역으로 가는 것을 선호한다. 자연히 신목동역에 대한 수요는 그리 많지 않은 편이다. 이 역을 주로 이용하는 사람들은 목동1단지나 한신청구아파트 주민이 대다수이며, 목동2단지 주민들 중 일부가 이용하기는 한다. 3~4단지 주민들은 여기까지 걸어오느니 오목교역을 가는 것을 선호하며, 목5~6단지 주민들은 버스로 당산역을 가는 것이 합리적이다.

서울에너지공사와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을 갈려면 여기에서 내리면 된다. 하지만 이곳에서 이대목동병원으로 가기는 힘들다.[6]

곧장 가는 버스가 없다. 일방통행로가 많은 곳이라 한참을 돌아가면 바로 앞에 세워주거나(6627) 월촌중학교에서 내려(571) 엉뚱한 방향으로 빠지기 전에 걸어가거나, 그나마 덜 도는 6620번이 있다.

이대목동병원 자체가 자가용이나 택시가 아니고선 접근성이 굉장히 나쁜데, 그나마 버스나 지하철 등 대중교통을 이용한다면 이 역보다 오목교역 혹은 당산역을 경유하는 편이 낫다. 병원을 가는 경우라면 오목교, 병원에서 나오는 경우면 당산역이 좋다.

목동야구장, 아이스링크는 오목교역이 가깝다.

3번 출구가 안양천 공원과 바로 연결되어 있고 출구 앞에 2011년에 완공된 자전거 보관소[7]가 있어 러닝이나 사이클을 좋아한다면 이 역을 기점으로 해서 즐기기엔 좋다. 남쪽으로 6km 정도 내려가면 구일역이 나오며, 경인선 철로를 넘어가면 바로 광명시이다. 북쪽 방향 역시 한강 합류부를 지나 가양대교를 넘어가면 고양시로 갈 수 있다.

그 외에도 아래와 같은 시설이 있다.
  • 서울목원초등학교
  • 월촌중학교
  • 한가람고등학교
  • 용왕산근린공원
  • 서울에너지공사
  • 서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8]
  • 1번 출구: 용왕산근린공원
  • 2번 출구: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서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목동119안전센터, 서울목원초등학교, 서울에너지공사, 한가람고등학교
  • 3번 출구: 안양천

4.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
파일:Seoulmetro9_icon.svg
비고
2009년
6,095명
2010년
6,772명
2011년
7,016명
2012년
7,452명
2013년
7,902명
2014년
7,910명
2015년
7,609명
2016년
7,598명
2017년
7,602명
2018년
7,549명
2019년
7,570명
2020년
5,754명
2021년
6,010명
2022년
6,893명
2023년
7,507명
출처

승객이 무척 더디게 늘어나는 역이다. 2022년 기준 하루 평균 이용객은 6,893명 정도로 개통 첫해보다 불과 1.25배 늘어나는 것에 불과했다. 아직도 하루 승하차객 수가 1만 명을 넘어서지 못했는데, 역의 위치를 생각하면 이용객이 저조한 것은 어쩔 수 없는 부분이다.

역 동쪽은 안양천이 가로막고 있고, 서쪽은 용왕산이 있다. 산자락에 몇몇 주택이 조성되어 있고 역 남쪽에 목동신시가지가 있기는 하나 매우 협소한 부분만 도보로 커버가 된다. 즉, 쉽게 말하면 굉장히 외진 위치에 꼭꼭 숨어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비 급행역이라 목동 앞단지에서는 차라리 버스를 통하여 급행역이면서 2호선 이용까지 되는 당산역과 오가는 경우가 훨씬 많다. 이러한 문제로 수요를 끌어오기가 매우 어려우며, 그나마 7,600명의 승객이 타는 것도 여의도, 강남구 접근성이 우수하다는 장점 덕분에 일부러 찾아오는 승객들이 있기 때문이다.

5. 승강장[편집]

파일:attachment/11118.jpg
9호선 승강장
염창

6. 기타[편집]

  • 신목동역 영어 안내방송에서 Sinmok-dong 이라고 안내방송이 나온다. 외지인들이 신-목동을 신목-동으로 착각할 수도 있다.
  • 9호선 역 중 유일하게 완전히 양천구에 있는 역이다.[10]

7. 연계 교통[편집]

8. 둘러보기[편집]

[1] 간혹 '신목'동이라는 지명으로 착각하는 승객들이 있으나, '신목'이라는 이름을 가진 동네는 없다. 다만, 신목중학교가 신목동역 부근에 있어서 헷갈리는 사람들이 있고, 점포 간판에 '신목점'이라고 쓰여 있는 곳이 상당수이다.[2] 「‘용왕산역’ → ‘신목동역’ 역명 변경」, 2008-09-01, 양천신문[3] 건설지를 참고해보면, '목동 입구'라는 역명도 고려된 것으로 확인된다.[4] "이재식 양천구의회 의장, 주민과 함께하는 현장 중심의 '의정활동' 전문가", 2022.11.02., 시사경제신문[5] 역 안에 원두커피 자판기와 몇 개의 좌석이 있는 무인카페가 있다.[6] 다만 2번 출구의 에스컬레이터로 올라와서 바로 정면에 있는 계단으로 올라가면 버스 정류장이 있는데 거기에 있는 버스를 타면 근처로 더 빠르게 갈 수 있다. 문제는 배차간격이 10분, 때로는 20분 이상 벌어진다는 점이다.[7] 예전에는 '신목동역 자전거 주차장'이라는 이름이었지만, 최근에 '양천구 바이크 라운지'로 바뀌었다.[8] 2번 출구 바로 앞에 있으며, 안내방송에서도 소개된다.[9] 개통일인 7월 24일부터 12월 31일까지 161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10] 등촌역염창역은 양천구와 강서구에 걸쳐있어 약간 애매하다. 일단 역 이름부터가 강서구의 동네 이름을 대표하는 역이다. 등촌역은 4,5,6번 출구, 염창역은 3,4번 출구가 양천구 목동 쪽으로 들어간다. 이 중에서도 9호선 급행이 정차하는 역은 염창역 뿐이다. [11] 당산역 방향이 서긴 서는데 승객을 안 태울 수도 있다. 신목동역.서울지방식약청에서 타면 당산역 방향 6620번을 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