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
{{{#!wiki style="text-align:center"
중앙}}}
{{{#!wiki style="text-align:left"
좌측}}}
{{{#!wiki style="text-align:right"
우측}}}
{{{#!wiki style="letter-spacing: 값px"
텍스트}}}
출력 | 입력 |
텍스트의 letter-spacing이 1.5px입니다. |
|
텍스트의 letter-spacing이 1.0px입니다. |
|
텍스트의 letter-spacing이 0.5px입니다. |
|
텍스트의 letter-spacing이 기본값입니다. |
|
텍스트의 letter-spacing이 -0.5px입니다. |
|
텍스트의 letter-spacing이 -1.0px입니다. |
|
텍스트의 letter-spacing이 -1.5px입니다. |
|
{{{#!html <div style="letter-spacing: 값px">텍스트</div>}}} |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방향>, #<헥스 코드 1>, #<헥스 코드 2>)"
}}}
<헥스 코드 1, 2>
자리에 자신이 넣고 싶은 여섯 자리의 헥스 코드들을 찾아서 입력해 주세요.margin: (세로 여백 조절 숫자)px (가로 여백 조절 숫자)px;
을 추가로 입력하여 조절해 주세요.padding: (세로 크기 조절 숫자)px (가로 크기 조절 숫자)px;
을 추가로 입력하여 조절해 주세요.<to 방향>
자리에 to left, to right, to top, to bottom 중에서 하나를 입력해 주세요.to right
to left
to bottom
to top
to top right
또는 to right top
to bottom right
또는 to right bottom
to bottom left
또는 to left bottom
to top left
또는 to left top
<to 방향>
대신 <숫자deg>
문법을 사용해 보세요. 숫자
안의 각도 숫자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예시입니다.0deg
45deg
90deg
135deg
180deg
225deg
270deg
315deg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B9B9, #FFFDBB)"
그라데이션 기능입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B9B9, #FFD3B6, #FFFDBB, #B4ECB4, #ACE1FF, #F6C3FF)"
그라데이션 기능입니다
하하하!
무지개색 총공격!}}}
||<width=300px>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95, #13AD65)"
{{{#FFFFFF '''나무위키'''}}}[br]{{{#FFFFFF '''고유 컬러'''}}}}}} ||
나무위키 고유 컬러 |
||<width=300px>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EEEE, #AFEEEE, #AFEEEE, #AFEEEE, #4682B4, #4682B4, #4682B4, #4682B4)"
{{{#FFFFFF '''안녕하세요'''}}}[br][br][br]{{{#FFFFFF '''여러분'''}}}}}} ||
안녕하세요 여러분 |
linear-gradient(to right, #AFEEEE 65%, #4682B4 80%)"
||<width=300px>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EEEE 65%, #4682B4 80%)"
{{{#FFFFFF '''안녕하세요'''}}}[br][br][br]{{{#FFFFFF '''여러분'''}}}}}} ||
안녕하세요 여러분 |
linear-gradient(to right, #AFEEEE, #4682B4 60%, #C0D84D)"
||<width=300px>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EEEE, #4682B4 60%, #C0D84D)"
{{{#FFFFFF '''안녕하세요'''}}}[br]{{{#FFFFFF '''여러분'''}}}}}} ||
안녕하세요 여러분 |
linear-gradient(to right, #C9151E 30%, #D1EAFF 0%)
linear-gradient(to right, #C9151E 58%, #D1EAFF 57%)
linear-gradient(to right, #C9151E 70%, #D1EAFF 70%)
linear-gradient(45deg, #C9151E 70%, #D1EAFF 70%)
30% |
58% |
70% |
70% |
||<width=300px>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55c7d, #6c5b7b, transparent 50%), linear-gradient(to top, #f8b195, #f67280, #f64d5f)"
{{{#fff '''중첩된'''}}}[br]{{{#fff '''그라데이션'''}}}}}} ||
중첩된 그라데이션 |
중첩된 그라데이션 |
||<width=300px>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45deg, #1f719a 6%, #1f719a 12%, #2abdc3 12%, #2abdc3 18%, #fff6ee 18%, #fff6ee 24%)"
{{{#0e284c '''반복 그라데이션'''}}}}}} ||
반복 그라데이션 | 반복 그라데이션 | 반복 그라데이션 |
{{{#!wiki style="background-image: radial-gradient(circle at (위치)% (높이)%, #<헥스 코드 1>, #<헥스 코드 2>)"}}}
위치 50% 높이 50% 크기 50% | 위치 0% 높이 50% 크기 50% | 위치 50% 높이 0% 크기 50% |
||<width=300px>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radial-gradient(circle at 50% 0%, #000 30%, transparent 30%), linear-gradient(to top, #000, #808080)"
[br]'''{{{#fff 위치 50%[br]높이 0%[br]크기 30%}}}'''[br][br]}}} ||
위치 50% 높이 0% 크기 30% |
{{{#!wiki style="word-break: (조건값)"
}}}
normal
keep-all
break-all
word-break: break-all
) 입니다.word-break: break-all 사용 (알파위키 기본값, 글자 단위로 줄바꿈) |
|| Out of the frying pan into the fire. 프라이팬이 뜨거워서 밖으로 나가니 불 속이다. || Saying is one thing, doing is another. 말하는 것은 한 가지요, 행동하는 것도 또 다른 한가지다. || The fish always stinks from the head downwards. 생선은 꼭 머리부터 아래쪽으로 썩는 냄새를 풍긴다. || The sparrow near a school sings the primer. 학교 가까이 있는 참새는 입문서를 노래할 수 있다. || The mouse that has but one hole is quickly taken. 구멍 하나만 갖고 있는 쥐는 빨리 잡힌다. || Still waters run deep. 잔잔한 물은 깊이 흐른다. || What's learned in the cradle is carried to the grave. 요람에서 배워진 것이 무덤까지 간다. || You can lead a horse to water, but you can't make him drink. 말을 물가에 데리고 갈 수는 있지만 물을 먹게 할 수는 없다. || There's more than one way to skin a cat. 고양이 가죽 벗기는 데도 한가지 이상의 방법이 있다. || Rome wasn't built in a day. 로마가 하루에 만들어 진 것은 아니다. || One swallow does not make a summer. 제비 한 마리가 여름을 만들지는 않는다. || |
Out of the frying pan into the fire. 프라이팬이 뜨거워서 밖으로 나가니 불 속이다. | Saying is one thing, doing is another. 말하는 것은 한 가지요, 행동하는 것도 또 다른 한가지다. | The fish always stinks from the head downwards. 생선은 꼭 머리부터 아래쪽으로 썩는 냄새를 풍긴다. | The sparrow near a school sings the primer. 학교 가까이 있는 참새는 입문서를 노래할 수 있다. | The mouse that has but one hole is quickly taken. 구멍 하나만 갖고 있는 쥐는 빨리 잡힌다. | Still waters run deep. 잔잔한 물은 깊이 흐른다. | What's learned in the cradle is carried to the grave. 요람에서 배워진 것이 무덤까지 간다. | You can lead a horse to water, but you can't make him drink. 말을 물가에 데리고 갈 수는 있지만 물을 먹게 할 수는 없다. | There's more than one way to skin a cat. 고양이 가죽 벗기는 데도 한가지 이상의 방법이 있다. | Rome wasn't built in a day. 로마가 하루에 만들어 진 것은 아니다. | One swallow does not make a summer. 제비 한 마리가 여름을 만들지는 않는다. |
word-break: normal 사용 (라틴 문자 단어 단위로 줄바꿈) |
{ {{#!wiki style="word-break: normal" || Out of the frying pan into the fire. 프라이팬이 뜨거워서 밖으로 나가니 불 속이다. || Saying is one thing, doing is another. 말하는 것은 한 가지요, 행동하는 것도 또 다른 한가지다. || The fish always stinks from the head downwards. 생선은 꼭 머리부터 아래쪽으로 썩는 냄새를 풍긴다. || The sparrow near a school sings the primer. 학교 가까이 있는 참새는 입문서를 노래할 수 있다. || The mouse that has but one hole is quickly taken. 구멍 하나만 갖고 있는 쥐는 빨리 잡힌다. || Still waters run deep. 잔잔한 물은 깊이 흐른다. || What's learned in the cradle is carried to the grave. 요람에서 배워진 것이 무덤까지 간다. || You can lead a horse to water, but you can't make him drink. 말을 물가에 데리고 갈 수는 있지만 물을 먹게 할 수는 없다. || There's more than one way to skin a cat. 고양이 가죽 벗기는 데도 한가지 이상의 방법이 있다. || Rome wasn't built in a day. 로마가 하루에 만들어 진 것은 아니다. || One swallow does not make a summer. 제비 한 마리가 여름을 만들지는 않는다. || }}} |
Out of the frying pan into the fire. 프라이팬이 뜨거워서 밖으로 나가니 불 속이다. | Saying is one thing, doing is another. 말하는 것은 한 가지요, 행동하는 것도 또 다른 한가지다. | The fish always stinks from the head downwards. 생선은 꼭 머리부터 아래쪽으로 썩는 냄새를 풍긴다. | The sparrow near a school sings the primer. 학교 가까이 있는 참새는 입문서를 노래할 수 있다. | The mouse that has but one hole is quickly taken. 구멍 하나만 갖고 있는 쥐는 빨리 잡힌다. | Still waters run deep. 잔잔한 물은 깊이 흐른다. | What's learned in the cradle is carried to the grave. 요람에서 배워진 것이 무덤까지 간다. | You can lead a horse to water, but you can't make him drink. 말을 물가에 데리고 갈 수는 있지만 물을 먹게 할 수는 없다. | There's more than one way to skin a cat. 고양이 가죽 벗기는 데도 한가지 이상의 방법이 있다. | Rome wasn't built in a day. 로마가 하루에 만들어 진 것은 아니다. | One swallow does not make a summer. 제비 한 마리가 여름을 만들지는 않는다. |
word-break: keep-all 사용 (한글을 포함한 모든 문자의 단어 단위로 줄바꿈)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Out of the frying pan into the fire. 프라이팬이 뜨거워서 밖으로 나가니 불 속이다. || Saying is one thing, doing is another. 말하는 것은 한 가지요, 행동하는 것도 또 다른 한가지다. || The fish always stinks from the head downwards. 생선은 꼭 머리부터 아래쪽으로 썩는 냄새를 풍긴다. || The sparrow near a school sings the primer. 학교 가까이 있는 참새는 입문서를 노래할 수 있다. || The mouse that has but one hole is quickly taken. 구멍 하나만 갖고 있는 쥐는 빨리 잡힌다. || Still waters run deep. 잔잔한 물은 깊이 흐른다. || What's learned in the cradle is carried to the grave. 요람에서 배워진 것이 무덤까지 간다. || You can lead a horse to water, but you can't make him drink. 말을 물가에 데리고 갈 수는 있지만 물을 먹게 할 수는 없다. || There's more than one way to skin a cat. 고양이 가죽 벗기는 데도 한가지 이상의 방법이 있다. || Rome wasn't built in a day. 로마가 하루에 만들어 진 것은 아니다. || One swallow does not make a summer. 제비 한 마리가 여름을 만들지는 않는다. || }}} |
Out of the frying pan into the fire. 프라이팬이 뜨거워서 밖으로 나가니 불 속이다. | Saying is one thing, doing is another. 말하는 것은 한 가지요, 행동하는 것도 또 다른 한가지다. | The fish always stinks from the head downwards. 생선은 꼭 머리부터 아래쪽으로 썩는 냄새를 풍긴다. | The sparrow near a school sings the primer. 학교 가까이 있는 참새는 입문서를 노래할 수 있다. | The mouse that has but one hole is quickly taken. 구멍 하나만 갖고 있는 쥐는 빨리 잡힌다. | Still waters run deep. 잔잔한 물은 깊이 흐른다. | What's learned in the cradle is carried to the grave. 요람에서 배워진 것이 무덤까지 간다. | You can lead a horse to water, but you can't make him drink. 말을 물가에 데리고 갈 수는 있지만 물을 먹게 할 수는 없다. | There's more than one way to skin a cat. 고양이 가죽 벗기는 데도 한가지 이상의 방법이 있다. | Rome wasn't built in a day. 로마가 하루에 만들어 진 것은 아니다. | One swallow does not make a summer. 제비 한 마리가 여름을 만들지는 않는다. |
{{{코드, 또는 텍스트}}} |
{{{ 와 }}}
안에 들어간 텍스트는 마크업이 적용되지 않고, 이렇게 고정폭 글꼴
로 표시됩니다. 텍스트 사이에 코드를 넣는 경우나 이 문법 도움말 문서처럼 특정 마크업을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와 "}}}"
사이에 "{"
또는 "}"
를 3개 이상 연속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 {{
, }
, }}
는 정상적으로 출력되며, 사이에 띄어쓰기가 있는 경우에도 정상적으로 출력됩니다. 다만 중괄호를 열고 닫는 것이 짝이 맞는 경우엔 작동합니다. 시연[anchor()]
문법을 사용하면 현재 문서 또는 다른 문서의 임의의 위치로 하이퍼링크를 걸 수 있습니다. [anchor(아무개)]
사용법 | 출력 | 설명 |
[[알파위키:문법 도움말/심화#아무개]] | 특정 문서의 해당 앵커가 있는 위치로 하이퍼링크를 겁니다. | |
[[알파위키:문법 도움말/심화#아무개|알파위키:문법 도움말/심화#아무개]] | ||
[[#아무개]] | 같은 문서 내의 해당 앵커가 있는 위치로 하이퍼링크를 겁니다. | |
[[알파위키:문법 도움말/심화#아무개|물론 링크와 출력이 서로 다르게 할 수도 있습니다.]] | 링크와 출력이 서로 다른 앵커 문법입니다. | |
[[#아무개|나아가 같은 문서로도요.]] |
[[문서명#top]]
을 사용하면 해당 문서의 제일 위로 이동하는 링크가 생깁니다. 예시: 알파위키:문법 도움말/심화#top[[문서명#bottom]]
을 사용하면 해당 문서의 제일 아래로 이동하는 링크가 생깁니다. 예시: 알파위키:문법 도움말/심화#bottom[[문서명#toc]]
을 사용하면 해당 문서의 목차로 이동하는 링크가 생깁니다. 예시: 알파위키:문법 도움말/심화#toc[[문서명#s-n]]
을 사용하면 해당 문서의 n번째 문단으로 이동하는 링크가 생깁니다. 또한 [[문서명#문단 이름]]
을 사용하면 해당 문서의 해당 문단으로 이동하는 링크가 생깁니다. 문단을 추가하거나 삭제하면 문단번호가 변화하니 문단번호 앵커는 쉽게 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문단이름은 변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적어 더 안정적입니다. 물론 문단이름도 변할 수 있어서 완전한 것은 아닙니다. 예시: 알파위키:문법 도움말/심화#s-1, 알파위키:문법 도움말/심화#개요[[문서명#fn-n]]
을 사용하면 해당 문서의 n번째 각주로 이동하는 링크가 생기고, [[문서명#fn-A]]
을 사용하면 해당 문서의 A라는 각주로 이동하는 링크가 생깁니다. 예시: 알파위키:문법 도움말/심화#fn-1, 알파위키:문법 도움말/심화#fn-A[[문서명#rfn-n]]
을 사용하면 해당 문서의 n번째 각주가 삽입된 곳으로 이동하는 링크가 생깁니다. 여기에는 각주번호가 아닌 각주이름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예시: 알파위키:문법 도움말/심화#rfn-1, 알파위키:문법 도움말/심화#rfn-20[[../문서명]]
을 사용하십시오.예시 | |
입력 | 출력 |
[[\\]] | |
[[Fate/Grand Order/서번트/랜서/블라드 3세[EXTRA\]]] | |
[[\#1 To Infinity]] | |
[[#1 To Infinity#s-2]] [4] | |
[[S\#ARP]] | |
[[S#ARP#]] | |
[[a(4chan)|/a/]] [5] | |
(4chan/게시판 문서에서 링크를 걸 경우) [[../..//b/|{{{#0275D8,#EC9F19 /b/]]}}} |
붉은 v는 띄어쓰기를 나타냅니다. | |
입력 들여쓰지 않은 텍스트 v들여쓴 텍스트 (단계 1) vv들여쓴 텍스트 (단계 2) vvv들여쓴 텍스트 (단계 3) v들여쓴 텍스트 (단계 1) 들여쓰지 않은 텍스트 | 출력 들여쓰지 않은 텍스트 들여쓴 텍스트 (단계 1) 들여쓴 텍스트 (단계 2) 들여쓴 텍스트 (단계 3) 들여쓴 텍스트 (단계 1) 들여쓰지 않은 텍스트 |
> 기본 좌측
{{{#!wiki style="margin:0px auto;display:table"
> 가운데}}}
{{{#!wiki style="float:right"
> 우측}}}[clearfix]
기본 좌측
가운데
우측
입력 | 출력 |
표 안에 그냥 인용문을 넣을 경우
| 아래와 같이 점선 안이 쪼그라 듦.
|
여백을 주는 틀을 이용하는 경우.
|
|
##
를 입력하고 내용을 적습니다. 그 줄에 해당하는 내용은 출력시 없는 줄로 처리됩니다.입력 | 출력 |
| |
| 가나다라 마바사아 자차카타 |
[pagecount]
로 호출할 수 있습니다. 해당 위치에 알파위키에 존재하는 문서 개수를 출력합니다. 정수값으로 출력됩니다.[pagecount(네임스페이스명)]
과 같이 인수를 첨가하면 특정 네임스페이스의 문서 개수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반 문서는 문서
로 네임스페이스를 지정하면 됩니다.유형 | 입력 | 출력 |
전체 | [pagecount] | 545652 |
일반문서(문서 네임스페이스) | [pagecount(문서)] | 511605 |
파일 네임스페이스 | [pagecount(파일)] | 4446 |
분류 네임스페이스 | [pagecount(분류)] | 18634 |
틀 네임스페이스 | [pagecount(틀)] | 9557 |
알파위키 네임스페이스 | [pagecount(알파위키)] | 291 |
사용자 네임스페이스 | [pagecount(사용자)] | 1028 |
휴지통 네임스페이스 | [pagecount(휴지통)] | 5 |
파일휴지통 네임스페이스 | [pagecount(파일휴지통)] | 545652 |
토론 네임스페이스 | [pagecount(토론)] | 0 |
투표 네임스페이스 | [pagecount(투표)] | 0 |
특수기능 네임스페이스 | [pagecount(특수기능)] | 0 |
위키운영 네임스페이스 | [pagecount(위키운영)] | 545652 |
템플릿 네임스페이스 | [pagecount(템플릿)] | 545652 |
더미 네임스페이스 | [pagecount(더미)] | 545652 |
[ruby(글자,ruby=루비,color=red)] |
글자 |
|캡션| 테이블 || 내용 ||
테이블 | 내용 |
|
와 |
사이에 캡션을 입력합니다.[[내용|출력]]
형태 링크를 쓰면 문법이 깨질 수 있습니다. 또한 2019년 2월 현재 편집 중 미리보기를 할 때는 캡션이 회색으로 보이며 표 위가 아닌 밑으로 내려오는 버그가 존재합니다.{{{#!wiki style="margin: -5px -10px"
}}}
||<width=500><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red><table bgcolor=yellow>[[파일:로고.png|width=100%&align=center]]|| 문법을 적용하지 않은 이미지. 테두리(빨간색) 안에 상하 5px, 좌우 10px의 기본 여백(노란색) 발생. |
문법을 적용한 후. |
동영상에 적용. |
문법 |
|
결과 | 제목
|
문법 | 주의: 틀 안의 내용이 충분히 커야 합니다.
|
결과 | 제목
|
문법 |
| ||||||||||||||||||||
내부 테이블 하단과 접기 문법을 적용한 셀의 배경색이 같은 경우에는 하단 여백도 제거할 수 있습니다.
| |||||||||||||||||||||
내부 테이블 하단과 접기 문법을 적용한 셀의 배경색이 다른 경우에는 조금 더 복잡한 문법이 필요합니다.
| |||||||||||||||||||||
결과 |
|
{{{#!html (코드)}}}
형태로 작성합니다. 코드를 열었다면 무조건 닫아야 합니다.{{{#!html <div style="(스타일)">}}}적용내용{{{#!html </div>}}}
{{{#!wiki style="(스타일)"
적용내용}}}
{{{#!wiki style="border:1px solid #E0E0E0;border-left:3px solid orange;padding:12px;box-shadow:3px 3px 10px #B3B3B3;margin-right:10px;"
{{{+1 여기에 제목을 넣어 주세요.}}}[br][br]여기에 내용을 넣어 주세요.}}}
{{{+1 여기에 제목을 넣어 주세요.}}}
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br][br]
처럼 줄 바꿈 매크로를 두 번 사용하면 됩니다.{{{#!wiki style="border:1px solid #E0E0E0;border-top:3px solid orange;padding:12px;box-shadow:3px 3px 10px #B3B3B3;margin-right:10px;"
{{{+1 여기에 제목을 넣어 주세요.}}}[br][br]여기에 내용을 넣어 주세요.}}}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orange;padding:12px;"
{{{+1 여기에 제목을 넣어 주세요.}}}[br][br]여기에 내용을 넣어 주세요.}}}
{{{#!wiki style="원하는 서식"}}}
border-(방향):(선 굵기)px (선 스타일) (색상)
border:1px solid; border-width:5px 10px 15px 20px
border:1px solid; border-top:5px solid
thin, medium, thick
= 각각 1, 3, 5px, 또는 직접 입력 XXpx(반드시 px를 붙일 것)none solid double dotted dashed inset outset groove ridge |
#373A3C
background-color:(색상)
border-radius:(수치)px
border-radius:10px
:border-radius:10px 20px
:border-radius:5px 10px 20px
:border-radius:5px 10px 20px 40px
:padding-(방향):(수치)px
padding:0px
margin-(방향):(수치)px
또는 margin:(북쪽&남쪽 공통 적용 수치)px (동쪽&서쪽 공통 적용 수치)px
또는 margin:(북쪽 수치)px (동쪽 수치)px (남쪽 수치)px (서쪽 수치)px
}margin:0px
margin:0px auto
로 주었을 경우 표 밖의 가로 여백을 자동으로 맞춥니다. 즉, 표의 화면 가운데 정렬이 됩니다.height:(수치)px
width:(수치)px 또는 (수치)%
: %의 기준은 화면의 너비.max-width:(수치)px 또는 (수치)%
: %의 기준은 화면의 너비.color:(색상)
font-style: normal 또는 italic 또는 oblique
font-size: (수치)pt나 (수치)em 등.
[10]text-align: left 또는 center 또는 right
float:left 또는 right 또는 center
display
속성: 표가 화면에서 어떻게 표시될지를 정합니다. 속성을 주지 않을 경우 기본값은 block
입니다. 줄글 같이 취급하는 inline
, 표로 취급하는 table
, 안 보이게 하는 none
등이 있습니다. 더 자세한 사항은 링크 참조{{{#!syntax 언어명
코
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