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 권한을 부여받았을 경우 아래의 틀이 본인의 사용자 문서 최상단에 뜨게되며 틀 위로 마우스를 올리거나 터치했을 때 상단 틀 테두리가 빨간색으로 변합니다. 계정 차단 등의 링크로 들어갈 시 차단 메뉴가 정상적으로 보이게 되며, 문서의 ACL 페이지로 들어갈 시 ACL을 설정할 수 있게 됩니다.[1]
각 레스 하단에 달려 있는 [ADMIN] 숨기기 버튼으로 댓글을 블라인드 처리할 수 있으며, 제목 옆의 [ADMIN] 삭제 버튼으로 스레드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ADMIN] 스레드 상태 변경 기능을 이용하여 토론의 normal(일반), pause(일시 정지)[2], close(종결)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ADMIN] 스레드 이동 기능을 이용하여 해당 토론 스레드의 타 문서 이동이 가능합니다.
[ADMIN] 스레드 주제 변경 기능을 이용하여 스레드의 제목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토론 이동 기능을 이용해 뻘토론으로 판단이 된 스레드를 알파위키:뻘토론 보관함으로 보내어 폐기 처분을 하고 있습니다. 적절하게 이용하시면 됩니다. 단, 어떤 문서로부터 이동을 시킨 것인지는 로그에 남지 않으므로 이동 전에 있던 문서의 제목을 토론 스레드에 남기고 처분을 하시기 바랍니다.
권한 부여 페이지에서 유저를 골라 권한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이름을 입력하면 다음과 같은 체크박스가 나타납니다.
delete_thread (토론 삭제) admin (관리자 권한)[3] editable_other_user_document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 문서 편집)[4] suspend_account (사용자 차단) ipacl (IP 주소 차단) update_thread_status (토론 상태 변경) nsacl (이름공간 ACL 변경 권한)[5] hide_thread_comment (레스 블라인드) grant (사무관(권한 부여) 권한) no_force_recapcha (대부분의 리캡차 면제) disable_two_factor_login (확인되지 않은 기기에서의 이메일 인증 면제) login_history (사용자 다중 계정 검사 권한) update_thread_document (토론 문서 변경) update_thread_topic (토론 주제 변경)
이용자가 로그인할 때 이용한 아이피와 마지막으로 사용한 UA[6], 또 해당 이용자가 가입할 때 이용한 이메일 등을 통해 다중계정 검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비밀번호를 꼼꼼하게 설정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다중계정 검사툴을 이용할 때 다음과 같은 기록이 차단 내역에 남습니다.
반드시 다중계정 검사 요청이 들어왔을 시에만 해당 권한을 사용해야 하며, IP 공개는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24 대역[7]까지만 가능합니다. 검사를 마친 후에는 알파위키:다중계정 검사 보고서에 기록을 해야 합니다. 또한 검사 보고서를 판독하여, 검사를 실시하지 않은 다른 관리자가 동일인 판단 및 차단 여부를 결정합니다. 만약 한 번이라도 사용자의 로그인 기록을 조회했다면 검사를 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1] 차단 권한 혹은 ACL 설정 권한을 부여받았을 시[2] 토론을 닫힌 토론으로 보내지 않고도 일시 정지할 수 있습니다.[3] 토론에서의 이름을 굵게 만들고 사용자 문서에 틀을 추가합니다.[4] ACL에 perm:editable_other_user_document - 허용이 되었을 때에만 유효합니다.[5] 자세한 설명은 알파위키:ACL 설정 도움말을 참조해 주세요[6] 이전 UA는 기록되지 않습니다.[7] A.B.C.D에서 A.B.C까지가 /24 대역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