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파일:제헌 국회의원.jpg
대한민국 헌법 공포 기념사진

선거 일자: 1948년 5월 10일

임기 기간: 1948년 5월 31일 ~ 1950년 5월 30일


1. 개요2. 지역구 의원
2.1. 서울시2.2. 경기도2.3. 충청북도2.4. 충청남도2.5. 전라북도2.6. 전라남도2.7. 경상북도2.8. 강원도2.9. 제주도


1. 개요[편집]

5.10 총선거로 선출된 대한민국 초대 국회의 국회의원. 초대 국회에서 헌법을 제정했기에 제헌 국회의원으로 불린다.

2. 지역구 의원[편집]

제헌 국회부터 제5대 국회까지는 전국구 의원(비례대표)을 선출하지 않았으며, 5.10 총선거에선 200석의 지역구 국회의원만을 선출했다.
그러나 이마저도 제주도의 북제주군갑구와 북제주군을구를 제외한 198명의 의원만을 선출할 수 있었다.

두 선거구의 경우 각각 양귀진 후보와 양병직 후보가 1위를 차지하였으나, 제주 4.3 사태의 여파로 선거권자의 과반이 투표에 참여하지 못했고, 이에 미군정 당국은 두 후보의 동의 아래 선거를 무효화하였다.

이후 1949년 5월 10일, 두 선거구의 재선거로 홍순녕 의원과 양병직 의원이 선출됨으로써 200명의 정원을 맞출 수 있었다.

2.1. 서울시[편집]

서울시 제헌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
이름
소속 정당[A]
선수
비고[B]
당선 시
종료 시
제1선거구
(중구)
윤치영
尹致暎
초선
* 48.06.21: 외무국방위원장
* 49.07.04: 국회부의장[3]
제2선거구
(종로갑구)
이윤영
李允榮
초선
제3선거구
(종로을구)
장면
張勉
초선
* 48.12.22: 의원직 사퇴[4]
이인
李仁
초선
* 49.03.30: 보궐선거 당선
* 49.12.21: 법제사법위원장
제4선거구
(동대문갑구)
이승만
李承晩
초선
* 48.05.31: 국회의장
* 48.07.24: 의원직 사퇴[5]
홍성하
洪性夏
초선
* 48.10.30: 보궐선거 당선
* 49.01.15: 재정경제위원장
제5선거구
(동대문을구)
이영준
李榮俊
초선
* 48.12.21: 문교사회위원장
제6선거구
(성동구)
지청천
池靑天[6]
초선
* 48.06.18: 전원위원장
* 48.11.02: 시국(반란)수습대책위원장
* 49.01.15: 외무국방위원장
* 49.09.12: 민주국민당 대표의원
제7선거구
(서대문구)
김도연
金度演
초선
* 48.06.18: 재정경제위원장
제8선거구
(마포구)
김상돈
金相敦
초선
제9선거구
(용산구)
김동원
金東元
초선
* 48.05.31: 국회부의장
제10선거구
(영등포구)
윤재욱
尹在旭
초선

2.2. 경기도[편집]

경기도 제헌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
이름
소속 정당[A]
선수
비고[B]
당선 시
종료 시
제1선거구
(인천부갑구)
곽상훈
郭尙勳
초선
* 공무원처우개선대책위원장
제2선거구
(인천부을구)
조봉암
曺奉岩
초선
제3선거구
(개성부)
이성득
李聖得
초선
제4선거구
(고양군갑구)
서성달
徐成達
초선
제5선거구
(고양군을구)
최국현
崔國鉉
초선
제6선거구
(광주군)
신익희
申翼熙
초선
* 48.05.31: 국회부의장
* 48.08.04: 국회의장[9]
제7선거구
(양주군갑구)
김덕열
金德烈
초선
제8선거구
(양주군을구)
이진수
李鎭洙
초선
제9선거구
(포천군)
서정희
徐廷禧
초선
* 국회법 및 국회규칙 기초위원장
* 50.01.18: 징계자격위원장
제10선거구
(가평군)
홍익표
洪翼杓
초선
제11선거구
(양평군)
류래완
柳來琬
초선
제12선거구
(여주군)
원용한
元容漢
초선
* 49.09.12: 일민구락부 대표의원
제13선거구
(이천군)
송창식
宋昌植
초선
제14선거구
(용인군)
민경식
閔庚植
초선
제15선거구
(안성군)
김영기
金英基
초선
* 48.06.26: 징계위원장
* 48.11.12: 징계자격위원장
제16선거구
(평택군)
최석화
崔錫和
초선
제17선거구
(수원군갑구)
홍길선
洪吉善
초선
제18선거구
(수원군을구)
김웅진
金雄鎭
초선
* 특별법 반민족행위처벌법 기초위원장
제19선거구
(시흥군)
이재형
李載灐
초선
* 50.01.27: 대한국민당 대표의원
제20선거구
(부천군)
이유선
李裕善
초선
제21선거구
(김포군)
정준
鄭濬
초선
제22선거구
(강화군)
윤재근
尹在根
초선
제23선거구
(파주군)
김웅권
金雄權
초선
제24선거구
(장단군)
조중현
趙重顯
초선
제25선거구
(개풍군)
신광균
申光均
초선
제26선거구
(연백군갑구)
김경배
金庚培
초선
제27선거구
(연백군을구)
신현모
申鉉謨
초선
제28선거구
(옹진군갑구)
오택관
吳澤寬
초선
제29선거구
(옹진군을구)
김인식
金仁湜
초선

2.3. 충청북도[편집]

충청북도 제헌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
이름
소속 정당[A]
선수
비고[B]
당선 시
종료 시
제1선거구
(청주부)
박기운
朴己云
초선
제2선거구
(청원군갑구)
홍순옥
洪淳玉
초선
제3선거구
(청원군을구)
이만근
李萬根
초선
제4선거구
(보은군)
김교현
金敎賢
초선
제5선거구
(옥천군)
정구삼
鄭求參
초선
제6선거구
(영동군)
박우경
朴愚京
초선
제7선거구
(진천군)
송필만
宋必滿
초선
제8선거구
(괴산군)
연병호
延秉昊
초선
제9선거구
(음성군)
이의상
李宜相
초선
제10선거구
(충주군)
김기철
金基喆
초선
제11선거구
(제천군)
류홍열
柳鴻烈
초선
제12선거구
(단양군)
조종승
趙鐘勝
초선

2.4. 충청남도[편집]

충청남도 제헌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
이름
소속 정당[A]
선수
비고[B]
당선 시
종료 시
제1선거구
(대전부)
성낙서
成樂緖
초선
제2선거구
(대덕군)
송진백
宋鎭百
초선
제3선거구
(연기군)
진헌식
陳憲植
초선
제4선거구
(공주군갑구)
김명동
金明東
초선
제5선거구
(공주군을구)
신방현
申邦鉉
초선
제6선거구
(논산군갑구)
유진홍
兪鎭洪
초선
제7선거구
(논산군을구)
최운교
崔雲敎
초선
제8선거구
(부여군갑구)
남궁현
南宮炫
초선
제9선거구
(부여군을구)
김철수
金銕洙
초선
제10선거구
(서천군)
이훈구
李勳求
초선
* 49.09.22: 대한노농당 대표의원
제11선거구
(보령군)
임석규
林奭奎
초선
제12선거구
(청양군)
이종근
李鍾根
초선
제13선거구
(홍성군)
손재학
孫在學
초선
제14선거구
(예산군)
윤병구
尹炳求
초선
제15선거구
(서산군갑구)
이종린
李鍾麟
초선
* 48.06.21: 교통체신위원장
* 49.12.21: 외무국방위원장
제16선거구
(서산군을구)
김동준
金東準
초선
제17선거구
(당진군)
김용재
金用在
초선
제18선거구
(아산군)
서용길
徐容吉
초선
* 50.02.10: 의원 자격 정지[C]
제19선거구
(천안군)
이병국
李炳國
초선
* 49.04.08: 임기 중 사망[17]
김용화
金鏞化
초선
* 49.06.10: 보궐선거 당선
* 49.06.23: 의원직 상실[18]
이상돈
李相敦
초선
* 49.07.23: 재선거 당선

2.5. 전라북도[편집]

전라북도 제헌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
이름
소속 정당[A]
선수
비고[B]
당선 시
종료 시
제1선거구
(전주부)
신성균
申性均
초선
* 48.06.18: 내무치안위원장
* 50.02.10: 의원 자격 정지[C]
제2선거구
(군산부)
윤석구
尹錫龜
초선
제3선거구
(이리부)
배헌
裴憲
초선
제4선거구
(정읍군갑구)
라용균
羅容均
초선
* 49.01.00: 내무치안위원장
제5선거구
(정읍군을구)
김종문
金鍾文
초선
제6선거구
(고창군갑구)
김영동
金永東
초선
* 49.01.18: 교통체신위원장
제7선거구
(고창군을구)
백관수
白寬洙
초선
* 48.06.18: 법제사법위원장
제8선거구
(부안군)
조재면
趙在勉
초선
제9선거구
(익산군갑구)
백형남
白亨南
초선
제10선거구
(익산군을구)
이문원
李文源
초선
* 48.06.18: 자격심사위원장
* 50.02.10: 의원 자격 정지[C]
제11선거구
(김제군갑구)
조한백
趙漢栢
초선
제12선거구
(김제군을구)
홍희종
洪憘種
초선
제13선거구
(옥구군)
이요한
李要漢
초선
제14선거구
(완주군갑구)
류준상
柳俊相
초선
제15선거구
(완주군을구)
이석주
李錫柱
초선
제16선거구
(진안군)
오기열
吳基烈
초선
제17선거구
(금산군)
정해준
鄭海駿
초선
* 48.08.23: 재정경제위원장
* 49.12.21: 교통체신위원장
제18선거구
(무주군)
신현돈
申鉉燉
초선
김교중
金敎中
초선
제19선거구
(장수군)
김봉두
金奉斗
초선
제20선거구
(임실군)
진직현
晋直鉉
초선
제21선거구
(남원군)
이정기
李程器
초선
제22선거구
(순창군)
노일환
盧鎰煥
초선
* 50.02.10: 의원 자격 정지[C]

2.6. 전라남도[편집]

전라남도 제헌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
이름
소속 정당[A]
선수
비고[B]
당선 시
종료 시
제1선거구
(광주부)
정광호
鄭光好
초선
제2선거구
(목포부)
이남규
李南圭
초선
제3선거구
(광산군)
박종남
朴種南
초선
제4선거구
(담양군)
정균식
鄭均植
초선
제5선거구
(곡성군)
서우석
徐禹錫
초선
제6선거구
(구례군)
김종선
金鐘善
초선
제7선거구
(광양군)
김옥주
金沃周
초선
* 50.02.10: 의원 자격 정지[C]
제8선거구
(여수군갑구)
김문평
金汶秤
초선
제9선거구
(여수군을구)
황병규
黃炳珪
초선
제10선거구
(순천군갑구)
황두연
黃斗淵
초선
제11선거구
(순천군을구)
조옥현
趙玉鉉
초선
제12선거구
(고흥군갑구)
오석주
吳錫柱
초선
제13선거구
(고흥군을구)
류성갑
柳聖甲
초선
제14선거구
(보흥군)
이정래
李晶來
초선
제15선거구
(화순군)
조국현
曺國鉉
초선
제16선거구
(장흥군)
김중기
金仲基
초선
제17선거구
(강진군)
차경모
車庚模
초선
제18선거구
(해남군갑구)
송봉해
宋鳳海
초선
제19선거구
(해남군을구)
이성학
李聖學
초선
제20선거구
(영암군)
김준연
金俊淵
초선
제21선거구
(무안군갑구)
김용현
金用鉉
초선
제22선거구
(무안군을구)
장홍염
張洪琰
초선
제23선거구
(나주군갑구)
이항발
李恒發
초선
제24선거구
(나주군을구)
김상호
金尙浩
초선
제25선거구
(함평군)
이성우
李成佑
초선
제26선거구
(영광군)
조영규
曺泳珪
초선
제27선거구
(장성군)
김상순
金相舜
초선
제28선거구
(완도군)
김장열
金長烈
초선
제29선거구
(진도군)
김병회
金秉會
초선
* 50.02.10: 의원 자격 정지[C]

2.7. 경상북도[편집]

경상북도 제헌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
이름
소속 정당[A]
선수
비고[B]
당선 시
종료 시
제1선거구
(대구부갑구)
최윤동
崔允東
초선
제2선거구
(대구부을구)
서상일
徐相日
초선
제3선거구
(대구부병구)
백남채
白南埰
초선
제4선거구
(달성군)
김우식
金禹植
초선
제5선거구
(군위군)
박준
朴峻
초선
제6선거구
(의성군갑구)
정우일
丁又一
초선
제7선거구
(의성군을구)
권병노
權炳魯
초선
제8선거구
(안동군갑구)
김익기
金翼基
초선
제10선거구
(안동군을구)
정현모
鄭顯模
초선

2.8. 강원도[편집]

강원도 제헌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
이름
소속 정당[A]
선수
비고[B]
당선 시
종료 시
제1선거구
(춘천부)
최규옥
崔圭鈺
초선
* 49.12.21: 의원직 사퇴[38]
제2선거구
(춘성군)
이종순
李鍾淳
초선
제3선거구
(홍천군)
이재학
李鍾淳
초선
제4선거구
(횡성군)
원용균
元容均
초선
제5선거구
(원주군)
홍범희
洪範憙
초선
제6선거구
(영월군)
장기영
張基永
초선
제7선거구
(평창군)
황호현
黃虎鉉
초선
제8선거구
(정선군)
최태규
崔泰奎
초선
* 50.02.10: 의원 자격 정지[C]
제9선거구
(강릉군갑구)
원장길
元長吉
초선
제10선거구
(강릉군을구)
최헌길
崔獻吉
초선
제11선거구
(삼척군)
김진구
金振九
초선
제12선거구
(울진군)
김광준
金光俊
초선

2.9. 제주도[편집]

제주도 제헌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
이름
소속 정당[A]
선수
비고[B]
당선 시
종료 시
제1선거구
(북제주군갑구)
양귀진
梁貴珍
초선
* 48.05.18: 당선 무효[E]
홍순녕
洪淳寧
초선
* 49.05.10: 재선거 당선
* 49.12.23: 임기 중 사망[45]
제2선거구
(북제주군을구)
양병직
梁秉直
초선
* 48.05.18: 당선 무효[E]
양병직
梁秉直
초선
* 49.05.10: 재선거 당선
제3선거구
(남제주군)
오용국
吳龍國
초선
[A]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당선 시와 의원직 종료 시의 소속 정당이 같더라도 중간에 당적 변화가 있었으면 나누어 작성한다.[B]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당명변경에 따른 일괄적인 당적 변경은 따로 기록하지 않는다.[3] 김약수 부의장의 사퇴로 인한 보궐 선거에서 당선.[4] 초대 주미대사 임명.[5]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취임.[6] 제헌 총선 당시에는 이청천(李靑天), 임기 중에는 지대형(池大亨)으로 활동했었다. 2대 총선부터 지청천으로 활동하였다.[9] 이승만 의장의 사퇴로 인한 보궐 선거에서 당선.[14] 1949년 6월 20일까지는 동성회 소속으로 확인된다. 이후의 정당 통계에서도 누락으로 표시되었기에 임기 종료 당시의 정확한 당적은 알 수 없으나, 사실상 국회의원으로서의 마지막 당적으로 보인다.[D][D] 15.1 15.2 15.3 엄밀히 하자면 정당이 아니라 원내교섭단체이다.[C] 16.1 16.2 16.3 16.4 16.5 16.6 16.7 국회 프락치 사건 연루.[17] 사인은 뇌일혈.[18] 선거무효.[21] 1949년 7월 31일까지 동성회의 주요 간부로 활동한 것이 확인된다. 이후의 정당 통계에서도 누락으로 표시되었기에 임기 종료 당시의 정확한 당적은 알 수 없으나, 사실상 국회의원으로서의 마지막 당적으로 보인다.[D][24] 1949년 7월 국회프락치 사건에 연루되어 사회당에서 제명당했다. 이후 정상적인 정치 활동을 하기엔 어려운 상황이었으므로 임기 종료 당시엔 무소속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26] 1949년 7월 국회프락치 사건에 연루되어 민주국민당에서 제명당했다. 이후 정상적인 정치 활동을 하기엔 어려운 상황이었으므로 임기 종료 당시엔 무소속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30] 1949년 7월 국회프락치 사건에 연루되어 민주국민당에서 제명당했다. 이후 정상적인 정치 활동을 하기엔 어려운 상황이었으므로 임기 종료 당시엔 무소속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32] 1949년 7월 국회프락치 사건에 연루되어 사회당에서 제명당했다. 이후 정상적인 정치 활동을 하기엔 어려운 상황이었으므로 임기 종료 당시엔 무소속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38] 제3대 강원도지사 임명.[39] 동성회를 결성하고 세 달여 만에 국회 프락치 사건에 연루되어 구금되었다. 이후의 정당 통계에서도 누락으로 표시되었기에 임기 종료 당시의 정확한 당적은 알 수 없으나, 사실상 국회의원으로서의 마지막 당적으로 보인다.[D][E] 44.1 44.2 선거권자 과반 투표 조건 미달.[45] 사인은 심장마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