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이 사이렌 소리때문에 늦잠자다가 깼다고 투덜대며 항의하는
초딩들도 있다. 굳이
초딩 뿐 아니라
일제나 전쟁 등을 겪지 않은 젊은이들도
그저 빨간날이니 마음껏 쉬고 노는 날못 쉬는 사람들은 여전히 존재한다 전국고3들..이라는 인식 밖에 없을 정도였고 아예 마음껏 놀러가거나 여유를 부리는 타입도 있었을 뿐 아니라
현충일이 뭐에요?,
우리나라에 그런 날도 있었나? 그냥 쉬는 날에 노는 날인줄 알았는데?라는 반응도 있다. 대학들은 아예 현충일이 지나자마자 기말고사를 보고 6월 하순이면 벌써 종강이므로 현충일만 지나면 기말고사와 종강이 찾아오는 셈이다.
노오력충들인 전, 현직 대기업
CEO들이 언론 인터뷰를 통해 공휴일에서 빼줬으면 좋겠다고 하고 있는데,
한글날도 CEO들의 간접적이지만 지속적인 어필로 공휴일에서 사라졌으나, 2013년 한글날은 다시 공휴일이 되었다.
한편 호국보훈단체와 광복회 등 독립단체들은 1년 365일 중 유일하게 순국선열 및 전몰장병들에게 추모를 표하는 날이 이 날 뿐인데 평일로 전환하게 되면 참배객 감소와 호국영령에 대한 추모의식도 경제적인 활동으로 인해 사라지게 될 것을 우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실 알고보면 현충일이 굳이 휴일로 정해진 것도 이 날만큼은 모든 일을 접고 순국선열 및 호국영령에게 은덕을 베풀고 감사하며 숭상하고 지내라는 뜻에서 공휴일로 지정했다는 일설도 있다.
지상파 3사 등에서는 이날 하루 남북한을 소재로 한 전쟁 드라마나 영화, 또는 외국 전쟁영화를 방영한다. 현충일에 방영되었던 해외 전쟁극 중 유명한 사례로
에어리어88이 있다. 2016년 현충일에는 저녁에
KBS 2TV에서
연평해전을 방영하였고
KBS 1TV에서는
R2B: 리턴 투 베이스,
EBS 1TV에서는
고지전,
태극기 휘날리며와 같은 군사 영화를 방영했다.
KBO 리그에서도 현충일 당일에는 응원단(응원단장, 치어리더)의 응원을 자제하는 편이며 아예 응원단이 나오지 않거나 응원단장 혼자 응원을 진행하는 경우도 있다.
2009년 6월 6일 당시 토요일에 열렸던 서울
코믹월드의 경우는 아예 그 날에도
코스프레 행사를 열었던 것으로 알려져 일부 세간으로부터 비난을 받았다. 하필이면
코스프레라는 히히덕덕거리는 유희거리를 굳이 이런 날에까지 열어야 할 이유가 있느냐는 말이 있을 정도. 게다가 당시 장소 역시
독립투사를 기리는 기념관이 위치해 있고 공원 내에 백마고지 전투 용사들의 위령비가 있는
aT센터에서 열렸다. 다행히 아무 사고없이 끝났지만 말이다. 참고로 같은 해 8월 15일에 열렸던
광복절 당일에는
코스프레 행사를 열지 않았다.
이 날은
국립서울현충원,
국립대전현충원 앞 도로에
헬게이트가 열린다. 명절때보다 월등히 많은 참배객들이 이날 현충원을 방문하기 때문이다. 서울 동작동은 지하철이 있어서 낫지만
그런 거 없는 국립대전현충원은 도로가 마비상태에 빠진다.
현충일 추념식은 국립현충원에서 하는데, 메인은 서울이다. 국가 주관으로 국가보훈처에서 치르는 행사. 대전의 경우는 대전시 주관으로 치르는데, 행사 격만 낮을 뿐이지 규모는 서울에 준한다. 이는 대전 역시 현충원을 보유하고 있는 지자체이기 때문. 이 추념식에는 10시 사이렌과 동시에
조포를 쏘는 모습도 볼 수 있다.
현충일 폐지 입법 법안이 나왔다.
#사실 보면 알겠지만 현충일을 폐지하는게 아니라 대통령령에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 현충일이 명시되어 있어 별도로 국방부령으로 있던 "현충기념일에관한규정"을 폐지하는 것이다.
예전에는 유흥업소들이 유일하게 영업을 안하는 날이 현충일이었다고 한다.
스펀지 188회 방송분에 따르면
나이트클럽 중에도 문 안 여는 곳이 꽤 있는 듯하다.
성매매 특별법 발효 이전 전성기의
미X리나
청X리도 1년에 하루 이 날은 경건한 마음으로 문을 열지 않았다는 전설이 있다.
[2] 다만 요즘은 유흥업소들도 많이 형편이 어려운지, 아니면 현충일의 의미를 몰라서인지는 몰라도 그냥 닥치고 영업한다고. 특히 20-30대가 많이 찾는 클럽들은
현충일? 그게 뭔가요?혹은 그거 먹는 건가요?이런 식이라고(...).
2002년에는 월드컵 중간에 현충일이 꼈다고 한다. 보통은 월드컵 이전에 현충일이 끼지만
2002 한일 월드컵은 장마철을 피하기 위해 일부러 앞당겨 현충일이 끼게 되었다. 현충일에는 A조 두 경기(
덴마크 vs
세네갈,
우루과이 vs
프랑스)와 E조의
카메룬 vs
사우디아라비아의 경기를 했다.
2014년 6월 6일 네이트에서 현충일을 추모한다며 올린 추모 이미지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군 철모였다가 바뀐 일이 있었다.
# 네이트 독일계 자본 의혹 게다가 하필이면 현충일과
노르망디 상륙작전의 D-day는 같은날
[3]2015년 현충일에는
메르스의 대대적 유행으로 현충일 기념 행사들이 대대적으로 취소 또는 축소되었다.
청주대학교 개교기념일이 바로 현충일이다. 더 웃긴 것은
같은 재단의 어느 고등학교의 개교기념일마저
공휴일이다.
동병상련야노 시호의 생일이 현충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