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리우스 카이사르가 달력을 개정했을 때 (이게 율리우스력) 2월은 평년에는 29일이었고, 윤년이면 30일이었다. 그러다가 아우구스투스가 30일까지 있던 8월을 하루 늘려 31일로 하려고 (August가 몇월이더라?) 2월에서 하루를 빼는 바람에 결국 2월은 평년 28일, 윤년 29일로 정해졌다는 카더라성 정보가 있다.[2] 이 정보에 의하면 이렇게 한 이유라는 게 고작 아우구스투스라는 놈이 자기 생일이 그 달에 있다는 이유하나만으로 안그래도 날짜가 적은 2월에서 하루를 빼다가 자기 생일이 있는 달에 붙인 것이라고 한다.
다만 위 역법은 모두 폐기해 안쓰는 달력이므로 현재는 공식적으로 없는 날이다. 뒷날 인류가 그레고리력을 폐기하고 새로운 달력을 만든다면 2월 30일이 나올 가능성도 있겠지만, 지구의 실제 공전주기(365.2422일)와 그레고리력의 주기(1년에 365.2425일) 사이의 오차는 불과 0.0003일(=25.92초)이므로 우리가 살아있을 때는 그럴 수 없다. 게다가 그레고리력이 오히려 긴 쪽이라, 윤초로 보정하는 일이 없어도 먼 뒷날에는 400년 단위로 윤년이어야 할 해가 도로 평년인 식으로 보정한다. 이보다도 미세한 보정은 정기적으로 또는 수시로 윤초를 넣어 보정을 하며 윤초는 KBS 스펀지 96회 방송분에서도 소개했다.
창작물에서는 30일을 기준으로 달을 나누는 게임에선 간간히 볼 수 있었다. 이 경우엔 그레고리력이 아니므로 똑같이 적용할 수 없지만 연단위로 게임을 돌려야 하는 경우엔 윤년이나 일수를 매번 다르게 만들기보단 매 달의 일수를 똑같이 만드는게 편하기 때문에, 한 달의 주기를 30일로 만들어서 2월 30일이 있는 게임을 만들거나 4주를 기준으로 주기를 28일로 끝내는 만드는 방법을 채용해왔다.
이 날이 생일인 캐릭터도 매우 드물게 있다. 투하트2의 루시 마리아 미소라, 참고로 지구인이 아닌, 행성 루 출신의 외계인으로, '루'만의 고유 달력에는 2월 30일이 있다는 뜻도 된다. 루팡 3세의 단역 마모 쿄스케도 머나먼 미래에서 왔기 때문에 2월 30일이 생일이지만 이건 원작만화 한정.
[1] 사실 태음력은 기본적으로 29일까지 있고 30일은 보충하는 식이므로 굳이 2월이 아니어도 모든 달이 29일까지가 기본이다.[2]일본어 위키 율리우스력 항목 참조[3] 나머지 자투리는 특정 월에 안 포함하는 공휴일로 처리했다.[4] 평년인데 2월 29일생으로 출생신고한 사람 중 하나로 정운찬 전 국무총리가 있다.